메뉴 건너뛰기

함께하는 부고인
  
함께하는 부고인
  

싸가지 있게 살아라

2017.10.03 23:08

김필규 조회 수:371

 

 

얼마전 오랜 친구로부터 "싸가지 있게 살아라" 란 제목의 글을 카톡으로 받고 가슴이 털컥 내려앉으며,

평소에 얼마나 싸가지 없이 살았으면 80이 낼모래인데 이런 충고나 받고있나 하고 부끄럽기도 하고

화도 났읍니다. 그런데  정작 글을 읽어보니 내가 걱정하던 내용이 아니었고, 이친구도 남에게서 받은 글을

좋은 글이라 생각하고 주변의 친구들에게 전달했다는 내용이었읍니다.

 

문장을 읽어보니 마치 조선시대 유명한 散文家의 글인양 문장이 流麗했고, 그 내용도 孔子의 敎學으로

후에 朝鮮의 宗敎가된 孺敎의 가르침과 孟子의 四端說(인간이 근본적으로 지녀야할 4가지 도덕성에 관한

학설) 등을 인용하여 싸가지의 뜻을 설명하려고 한 글이었읍니다. 간추려 보면,

 

"인간이 기본으로 갖춰야할 德目이 仁 義 禮 智 信이라 조선시대 한양의 4대문을 興仁之門, 敦義門, 崇禮門,弘智門이라

작명하고 그리고 普信閣을 세워 한양 도성을 오상(五常)에 기초하여 건립 하였다고 했읍니다.  오상은 맹자의 사단설로

仁은 측은지심(惻隱之心), 義는 수오지심(羞惡之心), 禮는 사양지심(辭讓之心), 智는 (是非之心), 信은 (光明之心)으로

보신각이 4대문 중심에서 종을 울리는 것은 인의예지를 갖추어야 인간은 신뢰할 수 있다는 유교적 철학이라며,

인의예지 4가지가 없는 사람은 사가지 즉 싸가지가 없는 놈이므로, 우리 모두 싸가지 있는 사람됩시다."였읍니다.

 

그런데 내가 평생 수없이 많이 사용해온(어떤때는 하루에도 몇번씩)  싸가지는  나무나 꽃의 새싹과 관계된 것이지 인류의

큰스승이신 공자님과 맹자님과는 관계가  없을 것이라 생각 하면서도 언젠가 귀동냥으로 공자의 論語에 비슷한 내용이 있다는

말을 들은 듯 하여 찾아보았읍니다. 몇일 후에 우리 동창 몇몇이 모인 식사 모임중에 물어보고 전화로도 몇 친구에게도 물었으나

싸가지의 바른 뜻을 아는 사람이 없었읍니다.

 

1989년 民音社가 발간한 史學家 김종무(金鐘武)선생님의 論語新解에 다음과 같은 공자님의 말씀과 김선생님의 해설이

나옵니다.

 

子曰 苗而不秀者有矣夫며 秀而不實者有矣夫인저

공자 말씀 하시기를 싹은 나고도 이삭이 패지 못하는 것도 있고

이삭은 패고도 결실을 못하는 것도 있다.

즉, 사람이 어렸을 때에 수재로 지내다가 중간에 평범하게 되고

중간 이후에 타락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개탄한 말씀이다.

 

그런데 일전에 고전문학을 전공하고 조선일보에 유익한 칼럼을 쓰시는 한양대학교 정민교수의 2013년 칼럼

"수이불실(秀而不實)"을 발견하고 읽어보니 싸가지의 뜻은 무엇이고 공자님의 가르침은 무엇이었는지 이해가

될듯하여 아래 전재합니다.  모두 한번 읽어 보시고 옳게 사용합시다.

 

                                                                    수이불실(秀而不實)                                  정민 한양대교수

 

 

모를 심어 싹이 웃자라면 이윽고 이삭 대가 올라와 눈을 내고 꽃을 피운다. 그 이삭이 양분을 받아

알곡으로 채워져 고개를  수그릴 때 추수의 보람을 거둔다. 처음 올라오는 이삭 대 중에는 아예

싹의 모가지조차 내지 못하는 것이 있고, 대를 올려도 끝이 노랗게 되어 종내 결실을 맺지 못하는

것도 있다. 이런 것은 농부의 손길에 솎어저서 뽑히고 만다. 싹의 모가지가 싹아지, 즉 싸가지다.

이삭 대의 이삭 패는 자리가 싹수(穗)다. 싸가지가 있어야 하고, 싹수가 노래서는 안되는 이유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공자는 논어 자한(子罕)에서 이렇게 말했다. "싹만 트고 꽃이 피지 않는 것이 있고, 꽃이 피었어도

결실을 맺지 못하는 것이 있다. 묘이불수(苗而不秀)는 싸가지가 없다는 말이다. 수이불실(秀而不實)은

싹수가 노랗다는 뜻이다. 싹이 파릇해 기대했는데, 대를 올려 꽃을 못 피우거나, 꽃 핀 것을 보고 알곡을

바랐지만 결실 없는 쭉정이가 되고 말았다는 얘기다. 결과는 같다.

 

묘판에서 옮겨져 모심기를 할 때는 모두 푸릇한 청춘이었다. 들판의 꿈은 푸르고 농부의 기대도 컸다.

애초에 싸가지가 없어 솎아 지는것은 어쩔 수 없다. 고만고만한 중에 싹수가 쭉쭉 올라오면 눈길을

끌지만 웃자라 양분울 제대로 못 받고 병충해를 입고 나면 그저 뽑히고 만다. 탐스러운 결실을 기대했

는데 참 애석하다.

 

한나라때 양웅(揚雄)의 아들 자오(子烏)는 나이 아홉에 어렵기로 소문난 아버지의 책 "태현경(太玄經)"

저술 작업을 곁에서 도왔다. 두보의 아등 종무(宗武)도 시를 잘 써서 완병조가 칭찬한 글이 남아 있다.

중추 벼슬을 지낸 곽희태는 다섯 살에 이소경(離騷經)을 다섯 번 읽고 다 외었다는 전설적인 천재다.

권민(權愍)은 그 난해한 "우공(禹貢)"을 배운 즉시 책을 덮고 다 암송했다 한다. 하지만 이들은 후세에

아무 전하는 것이 없다.

 

천재가 꾸준한 노력을 못 이긴다. 대기만성이 맞는 얘기다.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되 네 끝은 창대하리라.

이것은 성경의 말씀이다. 시작만 잔뜩 요란하다가 용두사미로 흔적 없이 사라지는 것들이 더 많다.

재주를 못 이겨 제풀에 고꾸라진다. 꾸준함이 재주를 이긴다. 노력 앞에 장사가 없다.       -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18072 아프리카의 바오밥 나무 [22] 한순자 2009.11.01 375
18071 기쁜 소식입니다. [6] 김동연 2020.02.19 374
18070 동창 덕분에 <글/ 박옥순> [12] 이태영 2017.07.31 373
18069 한국의 섬티아고 순례자의 길 [14] 이은영 2020.06.17 372
18068 양은숙 동문의 '허벅지展'에 다녀오다. <인사동 조형갤러리> [10] file 이태영 2018.04.14 372
» 싸가지 있게 살아라 [15] 김필규 2017.10.03 371
18066 평균 IQ 세계지도 [2] file 박일선 2017.04.13 371
18065 天下第一翡色靑磁 [8] 김필규 2012.11.06 371
18064 이름 모르는 하얀 꽃 [6] file 이태영 2020.07.18 370
18063 '필동문화예술공간 예술통'에 다녀오다. [18] 이태영 2017.02.24 370
18062 김필규 동문의 손녀 사랑 - [할아버지가 꼭 보여주고 싶은 서양 명화 101] [21] 이문구 2012.05.31 370
18061 "엿이나 먹어라."의 由來는?? (웃어 봅시다) [15] 김영송 2013.07.19 370
18060 스리랑카 여행기 - Kandy, 옛 스리랑카 왕국의 수도 [8] file 박일선 2017.10.13 369
18059 강릉 선교장에 다녀 오다. [10] 김영은 2019.07.22 368
18058 OSM 지도, iframe으로 부고 홈페이지에 내 블로그 글 옮기기 [4] 박일선 2016.11.16 367
18057 위급한 순간에 내 편이 있다는 건(위대한 약속 / 리아킴) 이문구 2013.09.07 367
18056 양은숙 동문 유화 개인전 [19] 이문구 2009.11.19 367
18055 누가 이 사람을 아시나요 [45] 최경희 2009.10.05 367
18054 소백산 국립 산림치유원 <다스림> [14] 황영호 2018.11.01 366
18053 여학생님들 보셔요 -연흥숙 올림 [13] 연흥숙 2013.12.07 366
18052 Auld Lang Syne. 석별(惜別) [4] 심재범 2017.03.13 365
18051 2014년 봄 테마여행 [2] 이문구 2014.04.24 365
18050 숙자가 올렸던 이해인씨의 어느날의 커피 [32] 황영자 2009.08.08 365
18049 서울의 숨겨진 옛 골목 서촌 한옥마을 [7] file 이태영 2021.09.17 364
18048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4악장 (환희의 송가) [2] 심재범 2014.12.16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