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함께하는 부고인
  
함께하는 부고인
  
 

[아무튼, 주말] 시인 김지하는 왜 통일 후

행정구역을 고민했나?

 

[김두규의 國運風水]지자체 경쟁만 과열시키는

'특별’'특례’ 행정구역 문제

 

지난 5월 별세한 시인 김지하. ‘생명학’을 화두로 삼은 시인은 생전에 풍수에 관심을 뒀다./조선일보 DB

 

지난 5월 별세한 시인 김지하. ‘생명학’을 화두로 삼은 시인은 생전에

 

풍수에 관심을 뒀다. /조선일보 DB

 

금년 5월 작고한 시인 김지하 선생님과의 에피소드다.

 

2009년 봄, 전화를 주셨다. “어이, 김 박사. 너, 북한에서

유명 인사 되었어!” 김 시인은 기분에 따라 필자를 김 교수,

김 박사, 이놈, 너 등 편하게 부르셨다. 풍수는 시인의 화두인

‘생명학’에 중요했기에 가끔 뵙곤 했다. 시인은 “한반도를

서기가 어린 땅, 즉 ‘서기권(瑞氣圈)’으로 만들 수 있는

담론, 즉 서기권 풍수를 고민하라”고 하셨다. ‘북한 이야기’

사연은 이렇다. 그보다 1년 전인 2008년 초, 시인께서 전화를

주셨다.

 

“서울대통일평화연구소에서 특별심포지엄을 하는데 초청받았네.

주제는 ‘생명·평화·통일’이야. 마지막 부분에

‘남북한 통일 후 행정구역 개편’을 다룰 생각인데 풍수로

보는 행정구역 개편안을 소개할 셈이야. 연구 좀 해봐!”

얼마 후 ‘통일 후 행정구역 개편과 풍수’란 제목으로 소론을

보내드렸다. 시인은 발표 말미에 필자 원고를 그대로 소개하였다.

 

이후 글은 서울대통일평화연구소에서 단행본에 포함되어

출간되었고, 모 인터넷 매체에 전문이 소개되었다.

거슬러 올라가 1982년 부산대 철학과 윤노빈 교수가 가족과

함께 월북한 사건이 있었다. 윤 교수는 김 시인과 원주에서

함께 자라고 함께 공부하였던 절친이다. 윤 교수가 왜 월북을

했는지에 대해서 김 시인은 늘 의아해하셨다. 북으로 갔지만,

친구에 대한 그리움이었던지 윤 교수가 북에서 시인의

강연문을 보았던 듯하다.

 

얼마 후 일본 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풍수로 보는 통일 후

행정구역 개편안을 흥미롭게 읽었다”고 김 시인에게 전언한

것이다. 김 시인은 그 소식을 필자에게 전해주시며 농담을 하신

것이다. 짧은 에피소드이다. 그때 김 시인께 보내드렸던

행정구역 개편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통일 후 행정구역

개편은 ‘강국으로 가는 길·국토보존·지역감정 해소’

염두에 두어야 한다. 자연스러운(풍수적) 행정구역 설정은

산이 아닌 강(江)이다. ‘같은 물을 먹으면 생각이 같고,

다른 물을 먹으면 생각도 달라진다[同水同想 異水異想]’

이라 하였다.

 

‘금강권’은 충남·충북·전북 일부가 하나의 행정구역이 된다.

‘섬진강권’은 전북·전남·경남 일부가 하나가 된다.

전라도도 경상도도 없어진다….” 이 같은 행정구역의 이점은

무엇인가? “험악한 산세를 파괴하지 않아 국토가 보존되며,

물길 따라 도로가 확장되기 때문에 건설비가 절감된다.

또 강물 따라 형성되는 자연스러운 인심으로 지역감정이 없어진다.

바다가 새롭게 되고, 바다가 중요한 영토라는 인식 확장으로 인한

심리적 영토 확장 효과와 조선업·해군력 강화로 세계 해양

강국이 될 수 있다….”

 

뜬금없이 김지하 선생과 행정구역을 끌어내는 이유가 무엇인가?

얼마 전 강원도가 특별자치도가 된 뒤, 전라북도가 또 특별자치도가

된다는 보도가 있다. 그 궁색한 이유들은 생략한다.

충북·충남·경남·전남만이 특별자치도가 되지 않았다.

이들은 그냥 있을까? 몇 년 전에는 특례시란 행정구역이 생겼다.

대한민국 행정구역을 도표화해보니 정말 ‘특별’하다. 난맥상이다.

<도표 참고>.

 

 

 

행안부 차관으로 정년퇴직한 지인의 쓴소리이다. “지역소멸

위기는 아랑곳하지 않고, 자기 지자체만 특별하다는 경쟁의식

속에 남발되는 특별시·특별자치도·특례시, 참으로 답답합니다.

행정구역 개편은 국운 문제입니다.” 1599년 선조 임금은

신하들을 불러 놓고 말한다. “탄환만 한 작은 나라에 자잘한

고을 360개를 무엇 때문에 설치하였는가. … 짐의 생각은

300이란 숫자 따지지 말고 통합하여 줄이고 싶다.”(‘선조실록’)

그러나 선조 임금은 성공하지 못하였다.

 

이번 정부에서 부디 이것만큼은 ‘혁명적’으로 혁파하기를

기원한다. "좌절된 선지자” 김지하 시인을 추모하며!

 

출처/조선일보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17746 오랜만에 동대문 DDP 탐방 [2] file 이태영 2023.01.09 136
17745 호주 여행기 - Sydney [2] 박일선 2023.01.08 22
17744 분당 번개팀 중앙 공원 [5] file 정지우 2023.01.07 116
17743 박정희, 김대중, 노무현의 일치된 생각 [2] file 이태영 2023.01.07 138
17742 호주 여행기 - Sydney [5] 박일선 2023.01.05 38
17741 雪景 가현산에서... [6] 김인 2023.01.05 66
17740 명화와 명곡-15 [2] 정굉호 2023.01.05 42
17739 가현산 눈밭 산책로에서 [5] file 김인 2023.01.04 77
17738 사진에 글씨넣기 [3] 김동연 2023.01.04 55
17737 호주 여행기 - Melborne [3] 박일선 2023.01.03 29
17736 호주여행 - Great Ocean Road [3] 박일선 2023.01.01 30
17735 명화와 명곡-14 [6] 정굉호 2023.01.01 46
17734 친구가 보낸 크리쓰마쓰 카드.... 이초영 [10] file 이초영 2023.01.01 110
17733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5] file 박일선 2023.01.01 70
17732 2022년을 되돌아 봅니다. [8] 김동연 2022.12.31 104
17731 Happy New Year [6] file 엄창섭 2022.12.31 114
17730 2023년 인사회 첫 모임 [1] file 이태영 2022.12.31 76
17729 2022년도 인사회 회계보고 [5] file 김동연 2022.12.30 80
17728 호주 여행기 - Melbourne [1] 박일선 2022.12.29 18
17727 명화와 명곡-13 [2] 정굉호 2022.12.29 32
17726 국내 첫 '메소포타미아 문명전' 개최 [4] file 이태영 2022.12.29 193
17725 호주 여행기 - Launceston [1] 박일선 2022.12.27 23
17724 참! 고마웠습니다. [5] file 심재범 2022.12.27 89
17723 크리스마스 가족 연주회 [12] 정굉호 2022.12.27 96
17722 저희 가족 크리스마스 기념 사진을 보세요 [7] file 박일선 2022.12.27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