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함께하는 부고인
  
함께하는 부고인
  
 
 

아프리카 오지의 목수 출신... 건축계 노벨상 ‘프리츠커상’
43년 만에 첫 흑인 수상자, 프랑시스 케레
토착 재료로 마을 주민과 함께
학교 등 만들며 사회적 건축 실현
”건축 사각지대에 있는 이들의 삶 개선”


 

2014년 케레가 고국 부르키나파소에 지은 ‘외과 클리닉 및 보건 센터’. 커다란 패널 지붕을 겹쳐 얹어 햇빛을 차단하고 빗물을 모으기 쉽게 했다.  /@프랑시스 케레

2014년 케레가 고국 부르키나파소에 지은 ‘외과 클리닉 및 보건 센터’.
커다란 패널 지붕을 겹쳐 얹어 햇빛을 차단하고 빗물을 모으기 쉽게 했다.
/@프랑시스 케레

 

변변한 건물 하나 없는 오지(奧地)에서 자란 건축가가
세계 건축계 정상에 올랐다.
미국 하얏트재단은 15일(현지 시각) 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 출신 건축가
디에베도 프랑시스 케레(57)를 2022년 프리츠커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프리츠커상은 1979년 프리츠커 가문이 하얏트재단을 통해 제정한 건축상으로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43년 만에 첫 흑인 수상자가 탄생했다.
백인, 남성 중심 문화가 여전히 공고한 건축계에선 파격적 수상이다.

프리츠커상을 받은 지난 15일(현지시각) 자신의 베를린 사무실에 있는 프랑시스 케레./AFP 연합뉴스

프리츠커상을 받은 지난 15일(현지시각) 자신의 베를린 사무실에 있는
프랑시스 케레./AFP 연합뉴스

 

케레는 건축의 개념조차 생소한 아프리카에서 지역 주민과 함께 토착 재료로
학교 등 공공시설을 만들어 ‘사회적 건축’을 실천해온 건축가다.
이름 들으면 누구나 알만한 거창한 작품은 없지만, 건축 사각지대에 있는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의미 있는 건물을 만들어 왔다.
프리츠커상 심사위원단은 “케레는 건축가이자 봉사자로서 세상의 관심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에 사는 수많은 이의 삶과 경험을 개선해 왔다”며
“건축이 대상이 아니라 목적이며,
생산이 아니라 과정이라는 사실을 일깨웠다”고 평했다.

미국 몬태나주 티펫 라이즈 아트 센터에 설치한 쉼터(2019). /@Iwan Baan

미국 몬태나주 티펫 라이즈 아트 센터에 설치한 쉼터(2019). /@Iwan Baan

미국 몬태나주 티펫 라이즈 아트 센터에 설치한 쉼터(2019). /@Iwan Baan

미국 몬태나주 티펫 라이즈 아트 센터에 설치한 쉼터(2019). /@Iwan Baan
 

그의 인생은 한 편의 영화다. 아프리카에서도 최빈국 오지 출신.
전기, 수도는커녕 학교도 없었다. 일곱 살 때 촌장이던 아버지가
그를 학교에 보내려 옆 마을 친척 집으로 보냈다.
까막눈 아버지는 아들이 글을 깨쳐 편지를 읽고 쓸 수 있길 바랐다.
그렇게 마을 역사상 첫 ‘학생’이 탄생했다.
하지만 옆 동네 학교도 열악하긴 마찬가지. 시멘트로 대충 지은 교실에
100여 명이 몰려 콩나물시루 같았다.
어린 소년은 언젠가 제대로 된 학교를 짓겠다고 다짐했다.

첫 작품인 '간도초등학교'(2001). 학교 하나 없던 고향 마을에 지은 학교였다. 땅바닥에 도면을 그려 주민들에게 설명하고 함께 학교를 지었다. /@Erik-Jan Owerkerk

첫 작품인 '간도초등학교'(2001). 학교 하나 없던 고향 마을에 지은 학교였다.
땅바닥에 도면을 그려 주민들에게 설명하고 함께 학교를 지었다.
/@Erik-Jan Owerkerk

고향에 지은 첫 작품 '간도초등학교'(2001). /@Erik-Jan Owerkerk

고향에 지은 첫 작품 '간도초등학교'(2001). /@Erik-Jan Owerkerk
 

스무 살에 전환점을 맞는다. 학업을 마치고 목수로 일하다가
장학생으로 선발돼 독일 베를린의 목공 기술 견습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후 독일에 머물며 서른 살에 베를린 공대 건축학과에 입학한다.
졸업 후 독일에 정착했지만 그의 가슴은 늘 가난한 고국을 향했다.

고국 부르키나파소에 지은 학교 '리세 쇼르게(Lycée Schorge)'. 모듈형 건물 9개를 방사형으로 배치한 디자인으로 지역의 랜드마크가 됐다./@프랑시스 케레

고국 부르키나파소에 지은 학교 '리세 쇼르게(Lycée Schorge)'.
모듈형 건물 9개를 방사형으로 배치한 디자인으로
지역의 랜드마크가 됐다. /@프랑시스 케레

 

1998년 고향 마을 간도(Gando)에 학교를 지으려 재단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2001년 첫 작품 ‘간도초등학교’를 설계했다.
마을 주민을 모아 땅에다 도면을 그려 과정을 설명하고,
지역 재료인 진흙을 썼다.
여인들은 항아리로 물을 길어 나르고 아이들까지 돌을 날랐다.
이 작품으로 ‘아가 칸 건축상’(2004)을 타면서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

말리 국립공원(2010). /@프랑시스 케레

말리 국립공원(2010). /@프랑시스 케레
 

이후 말리국립공원, 케냐의 스타트업 라이언스 캠퍼스 등을 설계했다.
2017년엔 스타 건축가들의 필수 코스로 여겨지는
런던 서펜타인 파빌리온 프로젝트 건축가로 선정됐다.

런던 서펜타인 파빌리온(2017)./ @Iwan Baan

런던 서펜타인 파빌리온(2017)./ @Iwan Baan
 

케레는 수상 소감에서 “부자라는 이유로 물질을 낭비해선 안 되고
가난하다는 이유로 좋은 품질을 만들려고 노력하지 않아선 안 된다”며
“누구나 좋은 품질, 고급스러움, 편안함을 누릴 자격이 있다”고 말했다.

<출처/ 조선일보 김미리 기자>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18358 [한국일보 70년·70대 특종] <1>하와이 망명 이승만 전 대통령 단독 인터뷰(1961) [2] file 김필규 2024.03.01 77
18357 향수 (이미자, 패티김) [6] 최종봉 2024.03.01 57
18356 제비 (조영남) [1] 최종봉 2024.03.01 34
18355 인사회 모임은 3월 6일 예정대로 진행합니다. [2] file 이태영 2024.03.01 58
18354 2014년 서유럽 여행기, 영국 편 - Edinburgh [1] 박일선 2024.02.29 17
18353 어제 합창반에 가서 노래로 세계 여행을 했답니다. [2] file 연흥숙 2024.02.28 67
18352 세상에 이런 일이 file 심재범 2024.02.28 49
18351 Orlando Wetlands, Florida, USA [6] file 김승자 2024.02.27 336
18350 눈 온 다음 날 대공원에서 [9] 김동연 2024.02.26 84
18349 2월 산우회 눈속의 대공원 [6] 이은영 2024.02.26 57
18348 2014년 서유럽 여행기, 영국 편 - South Shields [1] 박일선 2024.02.25 19
18347 2000년 전 폼페이로 시간 여행 [2] file 이태영 2024.02.25 99
18346 세상에 이런일이 [2] file 심재범 2024.02.25 42
18345 유럽의 굴욕, 유럽의 IT일상은 미국의 식민지 (KBS 영상) [1] 최종봉 2024.02.24 27
18344 설중매 [8] 김동연 2024.02.24 70
18343 “실패해 귀향혔냐고요? 20대 이장이라 시방 겁나 행복해브러요~” [2] file 엄창섭 2024.02.24 92
18342 "동요에 얽힌 이야기" 뜸부기 할머니 [7] 김필규 2024.02.23 102
18341 2014년 서유럽 여행기, 영국 편 - York [2] 박일선 2024.02.22 24
18340 정월 대보름날에 <글 윤경자> [11] 김영은 2024.02.21 1203
18339 미군 모녀의 등장 [4] 김동연 2024.02.21 108
18338 봄 소식 [8] 황영호 2024.02.20 79
18337 테슬라 어닝 쇼크 [1] 최종봉 2024.02.20 16
18336 울고 넘는 박달재 (노래) [6] 최종봉 2024.02.20 37
18335 한강다리 폭파의 진실 [2] 김동연 2024.02.20 75
18334 2014년 서유럽 여행기, 영국 편 - Lincoln [2] 박일선 2024.02.1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