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함께하는 부고인
  
함께하는 부고인
  
 

[프리미엄][공복 김선생]
“내가 돼지야?”王은 왜 송편을 내동댕이쳤나

 

 김성윤 음식전문기자

삼색송편./조선일보DB
삼색송편./조선일보
 

추석에 송편 드셨지요?
“푼주의 송편이 주발 뚜껑 송편 맛보다 못하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푼주는 아가리가 넓고 밑이 좁은 그릇입니다.
크기가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만 적어도 냉면 대접보다 큽니다.
아무튼 굉장히 큰 그릇인데요, 이 푼주 가득 담은 송편이
밥주발 뚜껑에 올린 적은 양의 송편만 못하다는 말이죠.
조선 19대 왕 숙종(肅宗)에 얽힌 속담입니다.

◇숙종과 남산골 젊은 선비부부
어느 날 숙종이 서울 남산골로 몰래 야간 순시에 나섰답니다.
누추한 오두막집에서 낭랑하게 글 읽는 소리가 났습니다.
들창 사이로 방안을 들여다보니 젊은 남편이 글을 읽고,
새댁은 등잔불 밑에서 바느질을 하고 있었습니다.

“밤이 깊어 속이 출출하구려.”
선비가 책을 덮더니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거라도 드세요.” 조용히 일어난 아내가
벽장 속 주발 뚜껑에 담은 송편 2개를 꺼내 놓았습니다.
선비는 반갑게 송편 하나를 얼른 집어먹었습니다.
그리고는 남은 송편도 집어 들더랍니다.

‘시장하기는 마찬가질 텐데 아내에게 하나 줄 것이지,
인정머리 없는 놈.’ 왕은 괘씸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선비가 송편을 입에 물고는 아내 입에 넣어 주더랍니다.
왕은 부부의 애정에 감동했고,
부러운 마음으로 궁에 돌아왔습니다.
왕은 이튿날 나인을 불러 “송편이 먹고 싶다”고 했습니다.
부산을 떤 끝에 커다란 수라상이 들어오는데,
커다란 푼주에 송편을 높게 괴어 올렸더랍니다.
전날 밤 보았던 애틋한 환상이 와장창 깨졌죠.
울컥 화가 치민 숙종은
“송편 한 푼주를 먹으라니, 내가 돼지야?”라며
푼주를 내동댕이쳤습니다.
왕의 마음을 알지 못하는 궁궐 사람들은 어리둥절했을 뿐이었지요.
여기서 나온 속담이 바로
“푼주의 송편이 주발 뚜껑 송편 맛보다 못하다”란 거죠.

◇초파일·단오에도 먹던 송편
숙종이 야간 순시에 나선 때가 추석 즈음인지 아닌지는 확실치 않습니다.
요즘은 송편이 추석을 대표하는 절식(節食)이지만,
옛날부터 그렇진 않았습니다.
송편은 추석이 아닌 다른 명절에도 먹었습니다.

‘홍길동전’의 저자이기도 한 허균이 1611년 쓴
‘도문대작(屠門大嚼)’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도문대작이란 ‘푸줏간 앞에서 입맛을 쩝쩝 다신다’는 유쾌한 제목인데요,
전국 팔도 별미와 토산품을 기록한 책입니다.
이 책에서 허균은 송편을 ‘봄에 먹는 음식’으로 소개합니다.
19세기 초 문인 조수삼은 ‘추재집’에서 ‘정월 대보름
솔잎으로 찐 송편으로 차례를 지낸다’고 적었습니다.
이 밖에도 초파일·단오 등에도 송편을 빚어 먹는다고 기록됐고요.

송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추석에 먹던 송편은 ‘오려 송편’이라 했습니다.
‘오려’는 올벼의 옛말로, 일찍 익는 벼를 말합니다.
그러니까 ‘올해 농사지어 수확한 햅쌀로 빚은 송편’이란 뜻이죠.

‘노비송편’은 남자 어른 주먹만 하게 큼직하게 빚은 송편입니다.
음력 2월 초하루 중화절(中和節) 날 먹었습니다.
중화절은 조선 시대 농사철의 시작을 기념하는 날이었습니다.
이날 주인집에서는 ‘농사일 잘해달라’는 의미로
노비송편을 노비와 머슴들에게 나이 수대로 나눠줬기 때문에
‘나이떡’이라 불리기도 했습니다.

 

 <출처/조선일보>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18447 실재로 존재한다고 믿기지 않는 마법의 장소 20곳 new 김동연 2024.05.02 13
18446 2024년 겨울철새 [1] updatefile 김승자 2024.05.02 27
18445 여러분의 생각은.. 최종봉 2024.05.01 14
18444 비 오는 날의 수채화 [2] update 최종봉 2024.05.01 14
18443 방랑시인 김삿갓 최종봉 2024.05.01 14
18442 별난 산책, 서울약령시의 경동시장과 한의약박물관 탐방 [3] file 이태영 2024.04.30 64
18441 나의 산책길 [7] update 황영호 2024.04.30 61
18440 “아이비리그 갑니다” 美 할렘가 학생들, ‘K교육’ 덕에 눈빛 달라졌다 [2] 엄창섭 2024.04.30 58
18439 日에 한국을 홀딱 넘기려던 美 대통령 [3] 김필규 2024.04.29 67
18438 중국 광저우 덮친 토네이도 [1] 심재범 2024.04.29 35
18437 2014년 유럽 여행기, 덴마크 편 - 수도 Copenhagen 아들과 함께 [2] 박일선 2024.04.28 19
18436 2024 Honorary Starters at the Masters [2] 김필규 2024.04.27 57
18435 4월의 대공원 산우회 [5] update 이은영 2024.04.27 66
18434 선과 악의 본질 [6] 최종봉 2024.04.27 26
18433 <서울숲>을 걸었습니다. [10] 김동연 2024.04.25 105
18432 “광복 100주년 화성에 태극기” 우주항공청 닻 올렸다 [4] 엄창섭 2024.04.25 83
18431 송파의 대표적 문화공간 '송파책박물관' [3] file 이태영 2024.04.23 95
18430 신록의 계절 [4] file 김영은 2024.04.23 83
18429 흰모란 일기 [6] 김동연 2024.04.22 87
18428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2] 최종봉 2024.04.22 45
18427 읽기만 해도 근심이 풀리는 글 [3] 최종봉 2024.04.22 34
18426 여유와 넉넉함 [1] 심재범 2024.04.22 39
18425 2014년 서유럽 여행기, 영국 편 - 온천도시 Bath와 선사시대 유적 Stonehenge [1] 박일선 2024.04.21 16
18424 서울시가 대놓고 벤치마킹… 日 최초 공중정원 ‘미야시타 파크’는 어떤 곳? file 이태영 2024.04.18 81
18423 부처님오신날 앞두고 열린 봉축점등식 [2] file 김영은 2024.04.18 65